“나도 이제 IRP 하나 열어야 하나…”
솔직히 40대 초반까지만 해도 IRP(개인형 퇴직연금) 이런 거 전혀 관심 없었어요.
그냥 월급 들어오면 쓰고, 저축 조금 하고, 대충 그렇게 살았거든요.
근데 주변 친구들이 하나 둘 IRP 연다길래 궁금하더라고요.
처음엔 ‘귀찮은데’ 싶었지만, 세액공제 혜택 크다고 하니까 욕심이 생겼어요.
저도 결국 알아보고, 비교하고, 직접 가입까지 해봤습니다.
오늘은 제가 직접 IRP 계좌 만들면서 느꼈던 수수료 비교, 추천이유, 수익률, 이용후기까지 솔직하게 털어볼게요.
IRP를 알아보게 된 계기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올 때였어요.
회사 후배가 “형, IRP 만들면 세금 엄청 돌려받을 수 있어요” 하는 거예요.
처음엔 “에이, 설마” 했는데, 진짜로 연 70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하고, 이걸로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다는 거예요.
그 말 듣고 바로 검색했어요.
검색하면 나오는 말,
-
세액공제 최대 115.5만 원
-
노후 대비 필수
거기다 정부에서도 IRP 가입 권장하는 분위기래서 ‘나만 손해보고 있나?’ 싶었어요.
그래서 바로 결심했어요.
“나도 IRP 가입하자!”
증권사 IRP 수수료 비교 직접 해본 후기
IRP를 하려면 금융사를 골라야 하잖아요.
근데 종류가 너무 많은 거예요.
은행, 보험사, 증권사 다 있는데, 친구들 얘기 들어보니까 증권사 IRP가 수수료도 싸고 수익률도 높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증권사 위주로 알아봤어요.
-
삼성증권
수수료 무료 이벤트 중이었어요.
운용관리수수료, 자산관리수수료 둘 다 면제 조건 있었는데, 조건이 좀 복잡했어요.
가입 금액이나 거래 실적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서 패스. -
NH투자증권
이벤트 기간에 가입하면 수수료 완전 무료.
게다가 가입자 수 1위라 믿음이 갔어요.
연금 수령 시점까지 관리수수료도 할인되는 조건이라 마음이 끌렸어요. -
미래에셋증권
여기도 수수료 파격적이었어요.
특히 투자상품 라인업이 진짜 다양했어요.
해외 ETF부터 테마형 펀드까지 고를 수 있어서 좋았어요. -
KB증권, 신한투자증권
나쁘진 않은데, 수수료 면제 조건이 다른 곳보다 까다로웠어요.
연금 수령까지 가야 할인 적용되거나 일정 잔고 유지 조건이 필요했어요.
결론
비교해보니까 NH투자증권이 제일 깔끔했어요.
이벤트 기간에 가입하면 수수료 완전 면제, 별 조건 없이 계속 할인 적용 가능.
그래서 최종 선택은 NH투자증권 IRP로 했습니다.
IRP 추천 이유 솔직하게 말하면
제가 증권사 IRP를 추천하는 이유는 정말 간단해요.
-
운용 자유도가 최고
은행이나 보험사 IRP는 거의 원리금 보장형 위주라서 수익률이 낮아요.
근데 증권사 IRP는 ETF, 펀드, 예금 자유롭게 섞어서 운용할 수 있어요.
공격적으로 굴릴 수도 있고, 안전하게 가져갈 수도 있어요.
선택지가 많다는 게 정말 매력적이었어요. -
수수료가 저렴하다
은행, 보험사 대비 확실히 수수료가 싸요.
어차피 장기 투자할 거라면 0.1% 차이도 엄청 크거든요.
10년, 20년 굴리면 수수료가 몇백만 원 차이 나기도 해요. -
세액공제 혜택
IRP는 연금저축과 합산해서 연간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받을 수 있어요.
실제 체감하는 환급금이 상당합니다.
솔직히 이거 하나만으로도 IRP 가입할 이유는 충분했어요.
직접 운용해본 수익률 이야기
IRP를 만들고 나서 저는 ‘공격 60%, 안정 40%’ 비율로 투자했어요.
-
공격형: S&P500 ETF, 나스닥 ETF
-
안정형: 예금, 채권형 펀드
이렇게 섞었어요.
2023년 기준으로 보면, ETF는 15% 수익, 채권형은 2~3% 수익을 줬어요.
전체 포트폴리오 기준으로 연 수익률이 9% 정도 나왔어요.
물론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은행 금리 2%보다 훨씬 좋았어요.
‘와, 이래서 다들 IRP를 증권사로 하는구나’ 싶더라고요.
이용하면서 느낀 점
IRP 직접 운영하면서 느낀 건 딱 세 가지예요.
-
귀찮아도 자주 확인해야 한다
장기투자라고 해서 놔두기만 하면 안 돼요.
시장이 급변할 때는 ETF 리밸런싱(비율 조정) 해줘야 해요.
1년에 2~3번은 꼭 점검해야 수익률을 지킬 수 있어요. -
연금 수령 계획까지 세워야 한다
IRP는 55세 이후에 연금처럼 받을 수 있는데, 수령 방법(연금, 일시금)이나 수령 기간에 따라 세금이 달라요.
미리 계획 세워두는 게 좋아요. -
장기 투자라는 마인드 필요하다
짧게 수익 노리려고 하면 스트레스만 쌓여요.
’10년 뒤에 쓸 돈이다’ 생각하면 마음이 훨씬 편해져요.
경험하며 얻은 깨달음
처음엔 세액공제만 보고 시작했어요.
근데 IRP를 직접 운영하면서 정말 많은 걸 배웠어요.
투자 공부도 하게 되고, 돈을 ‘묶어놓고 키우는’ 습관이 생겼어요.
특히 증권사 IRP는 자유도가 높아서 내 스타일대로 포트폴리오 짤 수 있다는 점이 정말 좋았어요.
다만, 초반에는 상품 너무 많이 고르려고 욕심부리면 오히려 수익률이 안 좋아질 수도 있어요.
저는 한 번 실패해보고 나서 심플하게 바꿨어요.
큰 틀은 단순하게, 시장 흐름만 체크하는 게 장기적으로 훨씬 나았어요.
독자분들께 드리고 싶은 팁
IRP는 ‘세액공제 + 투자’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상품이에요. 수수료 적고 상품 선택 자유로운 증권사 IRP로 시작하세요. 귀찮아도 1년에 몇 번만 관리하면, 10년 뒤 큰 힘이 됩니다.
한 줄 요약
“증권사 IRP, 귀찮아도 한번 열어두면 세금 아끼고 노후 대비까지 두 마리 토끼 잡는다!”